운동학소개

근육뼈대의 지레 3가지 유형 정리

운동희희 2023. 3. 26. 14:30

지레유형에는 3가지가 있다. 지레의 기능 중 하나는 직선의 힘을 돌림의 토크로 전환시킨다.

 

<유형>

 

1. 1형지레

인체에서의 1형 지레 예시> 옆면(시상면)에서의 머리의 자세를 도와주는 머리와 목폄근육

 

근육힘 x내적모멘트팔 = 머리의 무게 x 외적인 모멘트팔일 때에 머리는 평형상태에 있게 된다.

1형 지레에서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은 같은 직선방향에서 작용하나 , 이런 힘들은 반대되는 돌림 방향을 보인다.

 

2.  2형 지레

돌림축은 뼈의 한쪽 끝에 위치하며, 근육 힘 또는 내적인 힘은 외적인 힘보다 더 큰 지레 작용을 갖는다.

인체에서의 2형 지레 예시> 장딴지 근육

 

3. 3형 지레

한쪽 끝에 돌림축을 가지고 있으며 2형 지레와는 다르게, 외적인 무게가 근육의 힘보다 더 큰 지레작용을 갖는다.

 

이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있는 유형이다.

인체에서의 3형 지레 예시> 팔꿈치관절 굽힘 근육

 

<정리>

 

대부분의 뼈에 붙어 있는 근육들은 바깥의 힘을 이겨내기 위해 바깥 힘 보다 몇 배의 더 큰 힘을 생산한다.

 

근육과 관절의 형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그 형태에 따라 큰 크기의 근육 힘은 관절에 대한 큰 압박력이나 전단력을 만든다.

 

대부분의 우리 몸 근육과 관절은 역학적 이득이 1보다 적은 상태로 기능하게 된다.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 큰 힘을 발생시키는데 아무리 1보다 적은 상태라 할지라도 비교적 크 내부의 힘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관절연골, 지방덩이, 윤활주머니와 같은 조직들이 이런 힘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킨다.

 

이러한 보호작용이 없다면 관절들은 부분적으로 퇴행되어 뼈관절염으로 이어진다.

 

<결론>

 

큰 크기의 근육들은 관절 표면을 가로질러 뼈까지 가게 되는데, 이러한 힘들을 견디기 위해 관절의 끝 부분은 비교적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접촉 압박을 줄인다.

 

이러한 특징들의 근육들은 힘을 분산하는데 필수적이고, 그렇지 않으면 뼈관절염이나 퇴행을 유발한다.

 

다양한 근육들이 복잡한 움직임을 어떻게 근육들이 협력하는지 이해해야 하며, 불균형이 되었을 때도 어떤 근육과 협력되어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것은 근육, 중력, 관절주위 결합조직에 의해 발생된 힘들이나 상호작용에 대해 강한 강조를 한다. 

 

 

'운동학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턴 제 1 법칙, 관성의 법칙 정리  (0) 2023.04.16
건강한 사람에서의 근육피로  (0) 2023.04.04
운동신경세포의 동원  (0) 2023.03.27
장력곡선의 이해  (0) 2023.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