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상황들이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와 관련이 있는데, 근육디스트로피, 길랑바레증후군, 불완전 척수손상, 큰 돌기통증증후군, 엉덩관절의 관절염이나 퇴행, 회색질척수염, 요통 등이 포함된다. 엉덩관절에 통증이나 불안정성을 가진 사람들은 관절을 가로지르는 관계된 압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러 벌림근육들의 강력한 근활성을 회피한 결과로 약화와 위축을 경험한다. 1. 트렌델렌버그징후(Trendelenburg sign)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척도가 트렌델렌버그징후이다. 환자에게 약화가 의심되는 다리로 한 다기 서기를 하라고 지시하고, 골반이 지지하지 않는 다리쪽으로 떨어진다면 양성징후라고 한다. 그렇지만 임상가들은 검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