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6

엉덩관절 형성이상증의 원인

엉덩관절 형성이상증은 엉덩관절을 침범하는 가장 흔한 병변들 중 하나이다. 이는 출생 시 또는 출생 후 몇 년 이내에 나타나며, 엉덩관절을 구성하는 뼈들의 비정상적인 구조적 발달 및 성장과 주로 연관된다. 엉덩관절은 출생 후 그리고 아동기 내내 발달을 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특정 진단과 예후가 항상 신생아 시기에 내려지는 것은 아니다. 1. 엉덩관절 형성이상증 특징 건강한 아이의 경우, 대부분의 증상들은 약간의 치료 또는 치료 없이 자발적으로 해결된다. 불행하게도, 초기 나이에 아이들의 증상이 해결될지 아니면 안 될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되는 아이들은 청소년기 내내 지속될 수 있는 발달상의 상황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적절히 치료가 안된다면 젊은 성인기에서 영구적인 신체장..

다리 2023.04.10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의 원인과 운동법

여러 상황들이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와 관련이 있는데, 근육디스트로피, 길랑바레증후군, 불완전 척수손상, 큰 돌기통증증후군, 엉덩관절의 관절염이나 퇴행, 회색질척수염, 요통 등이 포함된다. 엉덩관절에 통증이나 불안정성을 가진 사람들은 관절을 가로지르는 관계된 압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러 벌림근육들의 강력한 근활성을 회피한 결과로 약화와 위축을 경험한다. 1. 트렌델렌버그징후(Trendelenburg sign)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척도가 트렌델렌버그징후이다. 환자에게 약화가 의심되는 다리로 한 다기 서기를 하라고 지시하고, 골반이 지지하지 않는 다리쪽으로 떨어진다면 양성징후라고 한다. 그렇지만 임상가들은 검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

다리 2023.04.09

발목삠과 만성발목불안정성의 이해

가쪽발목 또는 안쪽 들림 삠은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손상이며 일반 인구들에서도 정형외과적 손상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발목 삠은 과도한 안쪽 들림, 발바닥쪽굽힘, 그리고 모음의 전형적인 결합으로 발생된다. 앞정강근과 긴종아리근의 높고 지속적인 EMG 반응은 이러한 근육들이 반사적인 감속과 이에 따른 극단적인 손상성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발목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앞정강근의 활성이 극단적인 발바닥쪽굽힘을 제한할 수 있지만 과도한 안쪽 들림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1. 발목삠의 손상 심각한 경우, 안쪽 들림 삠은 몇몇 조직들의 확실한 손상을 유발하는데, 앞목말종아리인대와 발꿈치종아리인대가 가장 자주 연루된다. 아마도 덜 인정되고는 있지만 안쪽 들..

다리 2023.04.05

편평발의 종류와 증상

편평발 또는 평발은 안쪽세로활이 만성적으로 내려가거나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발바닥근막, 스프링인대, 그리고 뒤정강근힘줄의 과신장, 찢어짐, 또는 약화가 결합된 발중간부나 몸 쪽 발 앞 부 영역에서의 관절 느슨함의 결과로 초래된다. 중간 또는 심각한 편평발이 있는 사람은 발을 통해 부하를 지지하고 분산시키는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강직성 변형 또는 유연성 변형으로 나뉜다. 1. 강직성 편평발 강직성 편평발은 체중이 부과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내려간 활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은 주로 발목뼈 융합(가쪽돌림 상태에서 고정된 발꿈치뼈와 목말뼈의 부분적 융합)과 같이 뻐나 관절의 형성이상으로 인한 선천적인 것이다. 또한 경직성 마비로 인한 어떤 근육의 과도한 당김으로도 발생할 ..

다리 2023.04.01

앞십자인대 손상과 원인

1. 해부학과 기능앞십자인대는 정강뼈고원의 앞융기사이영역에 있는 패인부위를 따라 부착된다. 부착부위에서 가쪽넙다리뼈관절융기의 안쪽면에 부착하기 위해 뒤쪽, 위쪽, 그리고 가쪽 방향을 향해 사선주행을 한다. 앞십자인대(이하 ACL) 내 섬유다발들의 장력, 꼬임, 그리고 전반적인 공간적 방향은 무릎이 굽힘과 폄을 함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섬유들 특히나 뒤가쪽다발에 있는 섬유들은 무릎이 완전한 폄에 다다름에 따라 점점 팽팽하게 된다. 이러한 섬유들은 무릎이 점진적으로 굽힘함에 따라 느슨해진다. 완전한 무릎 폄의 마지막 약 50~60도 동안, 네갈래근의 수축으로 발생된 능동적인 힘은 정강뼈를 앞쪽으로 당긴다. ACL의 신장된 섬유들에서 발생한 장력은 이런 앞쪽 미끄러짐의 크기를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

다리 2023.03.29

안굽이무릎(O다리)에 대한 정의와 특징

무릎에 대한 이해는 하지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무릎에 대한 일반적인 해부학과 정렬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안굽이무릎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안굽이무릎의 정의 무릎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정렬의 편차는 흔한데, 가쪽각도가 180도 이상이면 안굽이 무릎(genu varum) 또는 활모양다리라고 불린다. 2. 안굽이무릎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이러한 비정상적 정렬이 지속되면 뼈관절염이 생긴다. 정상적인 정렬이라면 디딤기(stance phase)시, 지면반발력은 보통 발꿈치의 가쪽을 지나서, 신체의 중력중심을 향해 계속됨에 따라 무릎의 위쪽과 안쪽으로 지나간다. 하지만 안굽이무릎으로 디딤기 시 관절반작용력은 무릎의 가쪽 보다 안쪽 관절에서 몇 배나 크게 힘을 받는다. 반복적으로 걷다 보..

다리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