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통

원반탈출증 또는 속질핵탈출증의 이해와 원인

운동희희 2023. 4. 6. 22:38

원반탈출증에 대한 정식 용어는 속질핵탈출증이다. 탈출증은 일반적으로 속질핵이 매우 민감한 신경조직들(즉, 척수, 말총, 앞신경뿌리나 뒤신경뿌리, 또는 척수신경뿌리의 출구) 쪽을 향해 뒤가쪽이나 뒤쪽으로 이동된 것을 말한다. 생체내 연구에 따르면 탈출된 물질은 속질핵 뿐만 아니라 이탈된 척추끝판의 파편도 있다고 강력하게 제안하고 있다.

 

1. 원반탈출증의 특징

모든 원반탈출증이 현저하게 빠져나오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경미한 경우에 있어 이탈된 속질핵이 뒤쪽으로 이동은 했으나 여전히 섬유테의 범위 안에 잘 있게 된다. 그러나 좀 더 진행되어 중간 정도의 경우에 있어, 뒤쪽 섬유테 내에 여전히 남아 있다 할지라도 속질핵 성분이 있는 지점이 척추뼈몸통의 뒤쪽 테두리의 주변을 넘어 팽창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심각한 경우에, 속질핵 성분은 섬유테 벽을 완전히 탈출하여 경질막바깥공간 속으로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어떤 경우에는 빠져나온 속질핵 성분이 경질막바깥공간 속으로 박히게 되는데 흔히 이러한 현상을 원반의 분리증이라고 한다. 빠져나온 또는 분리된 탈출증은 돌출 또는 팽창된 원반보다 더 좋은 예후를 갖는다.

 

일단 척주관속으로 이동되면, 탈출된 속질핵은 이동된 물질의 재흡수를 도와줄 수 있는 큰 포식세포들을 끌어당긴다. 심지어 작은 양의 흡수가 신경조질들에 부과된 역학적 압력을 확실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전은 어떤 사람들에 있어 탈출된 원반과 연관된 통증이 수술적 중재 없이 시간이 지나면서 왜 해결이 되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해 준다.

 

2. 원반탈출증의 증상

원반과 관계된 통증은 퇴행된 원반 자체나 탈출된 속질핵의 결과로 초래된다.

 

퇴행된 원반과 관계된 통증은 신경지배되고 있는 뒤쪽 섬유테의 주변부, 뒤세로인대, 또는 척추끝판의 손상으로부터 올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심각한 것은 탈출된 원반이 척주관 안의 신경조직들을 압박하여 유발되는 통증과 신경뿌리병증이다.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국소 조직이 부어오르고 염증이 발생할 때 통증이 증가한다.

 

척주관이나 척추사이구멍 내에서 압박되거나 염증이 발생한 신경은 일반적으로 다리에 있는 피부절에서 통증과 변경된 감각을 생산한다. 이러한 증상은 탈출된 원반이 궁둥신경을 형성하는 신경뿌리들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궁둥신경통증이라 한다. 

 

통증이 탈출된 속질핵의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큰 성분이기는 하지만 병리의 보편적인 결과는 아니다.

 

3. 원반탈출증의 원인

허리 뼈 영역에서의 뒤쪽 원반탈출증은 2개의 밀접한 기전이 일반적으로 연루된다.

 

첫 번째는 비교적 건강한 허리뼈에 전달된 크고 갑작스러운 압박력이나 전단력이 연루된 기전이다. 이러한 손상기전은 매우 격렬한 기침이나 구토 또는 매우 큰 부하 들기나 나르기와 같은 단 한 번의 외상성 사건과 연관이 있다.

 

두 번째는 훨씬 더 흔한 기전으로서 여러 해에 걸쳐 허리뼈에 전달된 일련의 낮은 크기의 힘들에 의해 일어나는데, 대부분 흔히 전에 있던 원반 퇴행이 연루된다. 퇴행된 원반은 속질핵 성분의 이동을 위한 통로의 역할을 하는 틈을 가지고 있다.

 

허리뼈에 대한 반복적 또는 만성적인 굽힘은 뒤쪽 또는 뒤가쪽 원반 탈출증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 굽힘은 섬유테의 뒤쪽면을 신장시켜 가늘어지게 하고, 겔 형태의 속질핵은 뒤쪽으로 이동되어 높은 정수압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높은 정수압은 몸통 근육들의 강한 활성을 필요로 하는 강력한 들기나 굽히기 활동들 동안 증가한다. 정수압이 충분히 높게 되면, 겔 형태의 속질핵은 섬유테 뒤쪽에 있는 예전의 균열을 찾아가거나 새로운 균열을 만들어 낸다.

 

비틀기 운동과 결합된 허리뼈 굽힘은 뒤쪽 또는 뒤가쪽 원반탈출증의 취약성을 좀 더 증가시킨다. 척추가 돌림 될 때 섬유테 뒤쪽 섬유들의 단지 절반만이 팽팽해지기 때문에 겔 형태의 속질핵이 접근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감소된다. 

 

컴퓨터 모형화와 사체연구에 따르면 축돌림과 가쪽 굽힘의 결합은 원반의 뒤가쪽 영역에 위치한 섬유테 섬유들에 큰 둘레 장력을 집중시킨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영역은 좀 더 균열이나 틈이 발달하기 쉽기 때문에 속질핵 성분의 침범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