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쪽발목 또는 안쪽 들림 삠은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손상이며 일반 인구들에서도 정형외과적 손상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발목 삠은 과도한 안쪽 들림, 발바닥쪽굽힘, 그리고 모음의 전형적인 결합으로 발생된다.
앞정강근과 긴종아리근의 높고 지속적인 EMG 반응은 이러한 근육들이 반사적인 감속과 이에 따른 극단적인 손상성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발목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앞정강근의 활성이 극단적인 발바닥쪽굽힘을 제한할 수 있지만 과도한 안쪽 들림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1. 발목삠의 손상
심각한 경우, 안쪽 들림 삠은 몇몇 조직들의 확실한 손상을 유발하는데, 앞목말종아리인대와 발꿈치종아리인대가 가장 자주 연루된다.
아마도 덜 인정되고는 있지만 안쪽 들림 삠은 세모인대에 대한 손상 그리고 목말뼈와 안쪽복사 사이의 압박 또는 전단에 의한 뼈의 타박상도 흔히 연루된다. 발목 안쪽면에 대한 이런 동시발생적 외상은 일부 심각한 안쪽 들림 삠이 왜 발목의 가쪽면과 안쪽면 모두에서 종창과 얼룩출혈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설명해 준다.
뿐만 아니라, 장부족 이음 내의 과도한 발바닥쪽굽힘과 다른 돌림운동 및 병진운동이 연루된 안쪽 들림 삠은 이론적으로 세모인대의 다양한 섬유들을 과신장시키고 손상시킬 수 있다.
2. 만성발목불안정성의 특징
의학적 중재를 요구하는 독립된 안쪽 들림 삠을 당한 사람의 30~70%는 후에 같은 발에서의 반복적인 발목 삠, 만성통증, 그리고 광범위한 관절 불안정성을 경험한다.
만성발목불안정성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스포츠에 참가하거나 심지어 비교적 스트레스가 없는 활동 동안에도 발목에서의 무너짐을 자주 보고한다. 기능의 상실 외에도 이러한 사람들은 발목에서의 뼈관절염이 발달할 가능성이 더 높다.
역학적 특성은 장부촉이음에 대한 목말뼈의 과도한 앞쪽 느슨함, 목말종아리관절에서의 감소된 발등쪽굽힘과 연관된 목말뼈의 뒤쪽 미끄러짐의 제한, 그리고 발목 내에서의 퇴행성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 특성은 만성적인 통증, 약화, 발목 무너짐의 주관적 느낌, 감소된 균형, 그리고 발목관절 위치 또는 고유감각의 변경된 감각을 포함한다.
신경계통으로의 왜곡된 감각 입력은 특히 예기치 못한 빠른 안쪽 들림 동요 이후에 발목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시기의 보호적 근육 반응을 발생시키는 능력이 감소된다. 확실히, 이러한 사람들이 변경된 발목의 고유감각, 증가된 자세 불안정성 또는 감소된 균형, 국소 근육들에서의 지연된 반응시간, 그리고 다리 전체 근육들의 변경된 동원 양상을 갖는다고 보여주고 있다.
3. 만성발목불안정성의 걸음분석
정상 대조군보다 6~7도나 더 큰 목말밑관절의 안쪽들림 상태로 걸음의 디딤기를 시작한다는 것을 밝혔다.
생체역학적으로 발꿈치 닿기에서의 안쪽 들림이 클수록 발꿈치닿기 시에 발생되는 위쪽 방향으로의 지면반발력에 의해 기대되지 않은 큰 안쪽들림 토크를 만들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것들은 원인에 관계없이 먼쪽 종아리뼈의 과도한 앞쪽 이동이 목말종아리관절에서의 운동형상학을 변경시키고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것이다.
요약하자면 발목에 대한 감소된 고유감각이 연관된다고 일관되게 주장되고 있으며 이것은 손상으로부터 발목을 보호하기 위한 신체의 동적인 반응은 물론 전반적인 자세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연관된 자세 불안정성이나 근육 조절의 결여가 반복된 발목 삠의 원인인지 아니면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불안정성을 관리하기 위해 보조기, 테이핑, 근력강화와 같은 전체적인 신체의 균형과 근력 결손에 대해 관리해야 한다.
'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관절 형성이상증의 원인 (0) | 2023.04.10 |
---|---|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의 원인과 운동법 (0) | 2023.04.09 |
편평발의 종류와 증상 (1) | 2023.04.01 |
앞십자인대 손상과 원인 (1) | 2023.03.29 |
안굽이무릎(O다리)에 대한 정의와 특징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