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관절 형성이상증은 엉덩관절을 침범하는 가장 흔한 병변들 중 하나이다. 이는 출생 시 또는 출생 후 몇 년 이내에 나타나며, 엉덩관절을 구성하는 뼈들의 비정상적인 구조적 발달 및 성장과 주로 연관된다. 엉덩관절은 출생 후 그리고 아동기 내내 발달을 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특정 진단과 예후가 항상 신생아 시기에 내려지는 것은 아니다.
1. 엉덩관절 형성이상증 특징
건강한 아이의 경우, 대부분의 증상들은 약간의 치료 또는 치료 없이 자발적으로 해결된다. 불행하게도, 초기 나이에 아이들의 증상이 해결될지 아니면 안 될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되는 아이들은 청소년기 내내 지속될 수 있는 발달상의 상황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적절히 치료가 안된다면 젊은 성인기에서 영구적인 신체장애로 이어진다.
일차적인 병리역학은 관절의 절구 쪽 영역에서 시작되며 나쁘게 발달된 절구는 넙다리뼈머리에 대한 짧고 얕은 지붕을 제공하여, 넙다리뼈머리와의 자연스럽고 적절한 관절을 방해한다. 안정된 관절을 형성하는데 실패한다면, 몸 쪽 넙다리뼈는 정상적인 발달을 위한 일차적인 자극을 상실하게 되며 약간 편평해진 넙다리뼈머리, 과도한 앞굽음, 또는 안굽이 엉덩관절이나 밖굽이 엉덩관절을 일반적으로 보이게 된다.
2. 엉덩관절 형성이상증 원인 - 과도한 관절 느슨함
엉덩관절주머니와 인대들에서의 과도한 느슨함은 관절면들 사이의 전단력 증가를 유발한다. 심각하게 느슨할 경우 불안정한 엉덩관절은 증가된 병진운동과 관절을 나타내고 , 탈구와 아탈구의 더 큰 위험성을 초래하게 된다.
비정상적으로 정렬된 또는 탈구된 엉덩관절은 관절의 성장과 발달을 안내하는 정상적인 운동역학적 자극이 결여된다.
어린아이 결합조직에서의 증가된 느슨함은 흔이 유전적 성향과 연관되고 출산 동안 임산부의 골반 느슨함을 유발하는 모성호르몬인 릴랙신에 의한 과도한 반응으로 유발되기도 한다.
3. 엉덩관절 형성이상증 원인 - 비정상적인 자궁 속 위치와 출생 후 위치
자궁 속 태아의 비정상적인 위치는 발달하고 있는 엉덩관절에 비정상적인 힘들을 부과 한다.
특히 양 무릎이 폄 된 상태로 볼기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들에서 증가된 빈도로 일어난다. 폄된 양 무릎은 이론적으로 뒤넙다리근에서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발달하고 있는 엉덩관절에 더 큰 힘을 생산해 낸다.
또한 첫 출산으로 태어난 아이는 덜 신장된 임산부의 자궁에 의해 아이에게 부과된 더 큰 힘 때문에 더 높은 위험요인을 갖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게다가 이런 아이들은 비정상적인 출생 전 위치와 연관된다고 생각되는 사경(torticollis)의 발생률이 더 높다.
출생 후 위치 또한 신생아 엉덩관절의 구조적 발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전통적으로 신생아의 엉덩관절을 폄과 모음 상태로 움직이지 못하게 포대기로 감싸는 문화권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 원래 태아의 위치인 굽힘 된 엉덩관절에 대해 비정상적인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포대기 싼 신생아의 엉덩관절이 굽힘과 벌림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관절 벌림근육의 약화의 원인과 운동법 (0) | 2023.04.09 |
---|---|
발목삠과 만성발목불안정성의 이해 (0) | 2023.04.05 |
편평발의 종류와 증상 (1) | 2023.04.01 |
앞십자인대 손상과 원인 (1) | 2023.03.29 |
안굽이무릎(O다리)에 대한 정의와 특징 (0) | 2023.03.28 |